행복해지는 법

대한민국 법무부 공식 블로그입니다. 국민께 힘이되는 법무정책과 친근하고 유용한 생활 속 법 상식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겠습니다.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범죄자의 뇌는 일반인과 다를까?

법무부 블로그 2015. 12. 17. 16:00
 

 

 

팔달산 토막 살인사건의 범인 박춘풍과 시화호 토막 살인사건의 범인 김하일을 기억하시나요? 현재 박춘풍은 1심에서 무기징역을 받았고, 김하일은 징역 30년을 선고받았습니다. 이 둘의 뇌를 분석한 자료가 재판에 활용된다고 합니다. 범죄자의 뇌를 분석해서 이를 양형 판단에 참고하는 것은 한국에서 처음 있는 일인데요.

 

박춘풍은 어린 시절 사고로 눈을 다쳤다고 합니다. 이때 안와전두피질이 손상됐을 수 있고, 이로 인해 공감능력을 잃어서 범행을 저질렀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사고로 인해 정신적인 문제가 있었을 경우, 범행의 책임을 물을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데요.

 

정말 뇌에 이상이 있을 경우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일까요? 범죄자의 뇌는 일반인과 다른 것일까요? 어떤 뇌 부위가 범죄와 관련이 있는 것인지, 지금부터 그 궁금증을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뇌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뇌의 기본적인 구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뇌피질에서 피질은 껍질을 의미합니다. 이 뜻처럼 대뇌피질은 나무의 껍질처럼 뇌를 둘러싸고 있습니다. 대뇌피질은 크게 4개의 엽으로 나뉘는데요.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대뇌피질은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부위들은 어떤 역할을 담당하고 있을까요? 먼저 오늘 알아볼 전두엽(Fronral lobe)은 고등사고를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람만의 특징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뇌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 외에도 우리몸의 움직임과 운동 계획 수립도 담당하고 있습니다. 언어를 생성하는 브로카 영역(Broca's area)도 전두엽에 있답니다.

 

다음으로 두정엽(Parietal lobe)은 각각의 신체부위로부터 통각이나 압각과 같은 체감각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를 기억하는 역할을 합니다. 나의 위치에 대한 공간 지각도 두정엽에서 이루어집니다. 측두엽(Temporal lobe)에서는 청각 정보의 처리가 일어나는 데요. 언어를 이해하는 베르니케 영역(Wernicke's area)도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측두엽에서는 2, 3차 시각정보의 처리도 일어나는데요. 일차적인 시각정보의 처리는 후두엽(Occipital lobe)에서 일어납니다. 점과 선의 형태로 1차원적인 지각이 일어지고, 시각정보에 대한 기억도 남게 됩니다. 후두엽은 우리 뇌의 가장 뒤쪽에 위치하고 있는데요. 뒤통수를 부딪쳤을 때, ‘별이 보인다.’고 하는 이유도 후두엽에 일차시각피질이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범죄자의 뇌구조는 일반인과 다르다?

 

 

 

- 전두엽에서 범죄와 관련이 있는 뇌 부위-

 

그럼 본격적으로 전두엽, 그 중에서도 범죄와 관련이 있는 부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간의 뇌는 뒤쪽부터 발달이 시작해서 점차 앞부분으로 확장된다고 합니다. 뇌의 가장 앞쪽(이마 부분)에 있는 전두피질(Prefrontal cortex, PFC)이 마지막까지 발달하게 되는 것인데요.

 

전전두피질은 본능과 공격성, 도덕성을 관장해서 부적절한 행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고등사고를 담당하기 때문에 지능과도 관련이 있는데요.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어 주는 부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이코패스의 경우 전전두엽의 활성이 감소한 모습을 보였다는 연구결과도 있다고 합니다.

 

안와전두피질(orbitofrontal cortex)은 눈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어서 붙여진 이름인데요. ‘안와(orbits)'가 눈구멍을 형성하는 뼈를 말합니다. 안와전두피질은 정서반응과 계획을 세우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주로 사회적 상황, 복잡한 자극이 갖는 의미를 지각하는 것과 연관이 있는데요. 이 과정에서 경험과 기억, 추론, 판단, 정서가 개입하게 됩니다.

 

다시 말하자면, 안와전두피질은 환경에 대한 정보를 해석한 뒤, 결과를 정서를 관여하는 편도체에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데요. 안와전두피질이 손상되면, 억제력과 자기관심, 책임감이 감소하고, 유해자극에 대한 정서반응이 결여된다고 합니다.

 

 

관련 사례 살펴보기

전두엽에 관한 연구는 계속해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전전두피질, 안와전두피질의 기능과 관련된 연구를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쇠막대가 뇌를 관통한 피니어스 게이지(Phineas Gage)

 

 

- 쇠막대가 뇌를 관통한 피니어스 게이지()와 당시 상황에 대한 재구성도()-

 

피니어스 게이지(Phineas Gage)는 철도건설현장에서 근무하던 중 쇠막대가 뇌를 관통하는 사고를 당했습니다. 생명에는 지장이 없었지만, 그는 사고 이전과 전혀 다른 사람이 됐는데요. 진지하고, 부지런하고 활기가 넘쳤던 그가 사고 후에는 아이 같고 무책임하며, 타인에게 무심한 사람으로 변한 것입니다.

 

피니어스 게이지는 사고로 쇠막대가 왼쪽 뺨으로 들어와서 정수리를 관통했는데요. 이 사고로 그의 안와전두피질이 파괴됐습니다. 사고 이후 달라진 피니어스 게이지의 성격은 안와전두피질의 역할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도덕적 딜레마, 누구를 살릴 것인가?

다섯명의 사람들이 탑승한 기차가 절벽을 향해 따라 달리고 있습니다. 당신이 돕지 않는다면 이들은 곧 죽게 되는데요. 당신은 스위치를 움직일 수 있고, 스위치를 움직인다면 기차의 방향을 바꿔서 안전하게 멈추게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방향을 바꾸면 선로 위의 한 작업자가 목숨을 잃게 됩니다. 당신은 기차의 방향을 바꿔서 5명의 목숨을 살리고, 대신 1명을 죽게 만들 것인가요? 1명을 살리고, 5명이 타고 있는 기차가 추락하는 것을 지켜볼 것인가요?

 

이와 같은 도덕적 딜레마를 제시했을 때 참가자들의 전전두피질을 포함해 정서적 반응과 관련된 뇌 영역들이 활성화 됐습니다. 전전두피질이 도덕적 판단에서 정서의 역할을 중개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입니다.

 

이 외에도 반사회적 행동을 하는 경향성은 전전두피질 부분의 감소와 관련이 있었습니다. 또한 살인범의 뇌를 연구한 결과, 충동적이고 정서적인 살인범들의 뇌에서 전전두피질의 활동의 감소를 관찰했는데요. 반면 냉정하고 계산적인 살인범들의 경우 전전두피질의 활동이 정상적이었습니다. , 전전두피질의 활성화 감소가 정서 조절 능력의 감소와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뇌를 촬영하는 방법 fMRI

앞서 설명한 각각의 뇌 부위가 잘 기능하고 있는지, 언제 활성화되는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기능성자기공명영상법(functional MRI)는 헤모글로빈 분자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를 측정해서 뇌의 어느 부위에 헤모글로빈 분자가 많이 분포해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인데요.

 

헤모글로빈 분자는 산소를 포함하고 있고, 뇌가 활동하기 위해서는 산소가 필요합니다. , 산소가 많이 공급되는 뇌 영역은 헤모글로빈의 에너지가 많이 측정되는 뇌 영역이고, 이 부위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fMRI는 각 뇌 영역의 상대적인 활동수준을 측정할 수 있어서 뇌 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방법입니다.

 

이번 박춘풍과 김하일의 뇌검사 역시 fMRI를 통해 측정하는데요. 다양한 질문과 사진을 제시하고, fMRI를 통해 뇌의 활성화 부위를 찾아내게 됩니다.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뇌 과학을 활용하는 재판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뇌구조의 문제가 범죄의 원인이 될 수 있는지그리고이를 감형사유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한데요. 강제적인 뇌 검사가 인간의 존엄성을 침해한다는 논란도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오래전부터 뇌 과학을 재판과 수사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뇌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들이 많은데요. 때문에 가장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분야 중 하나입니다. 이미 밝혀진 부분에 대해서도 끊임없이 새로운 발견이 계속되고 있는데요. 아무쪼록 이번 재판을 계기로 한국에서도 뇌 과학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졌으면 합니다.

 

 

= 7기 법무부 블로그기자 이밝음(대학부)

그림 = 위키피디아 검색

글 참조 = 박학사, 생리심리학(제7판), Neil R. Carlson, 200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