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방의사에게 침 맞아 봤어요? 그렇다면 당신은... 우리나라에 서양의학이 본격적으로 도입된 시기는 조선시대 고종(1885년) 시기였습니다. 고종이 미국인 선교의사 알렌의 병원설립 건의를 받아들여 개화파 홍영식의 집이었던 서울 재동(현재 헌법재판소 자리)에 광혜원을 세우게 된 것입니다. 알렌이 갑신정변에서 심하게 부상을 당한 민영익을 살려..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1.07.16
검사, 소녀를 만나다 - 새날청소년쉼터 찾은 ‘누리나눔’ 봉사단 사랑 받고 싶어요, 안전하게 보호 받고 싶어요...새날청소년쉼터 베란다 너머 진달래가 곱습니다. 이곳은 여느 집과는 조금 다른 가족이 모여 사는 아파트입니다.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위기청소년들의 단기보호쉼터인데요. 바로 '새날청소년쉼터'(소장 김은녕. 이하 '쉼터')입니다. 5월 가정..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1.05.04
내 인생의 '로또'가 무엇인지 생각해 본 적 있나요? “당신이 로또에 당첨되시기를 기원합니다.” 무대 한켠에서 흘러나오는 라이브 연주와 함께 불이 켜지면, 고뇌하는 검사의 모습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이어지는 그의 독백. “사람들은 말합니다, ‘오! 우리의 검사 나리. 우리 사회를 이끌어 나가는 등불. 사회 정의의 상징, 하지만 가까이 하기엔 너..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1.04.28
딱딱하고 지루한 그들만의 행사는 가라! 4월 25일, 이렇게 깊은 뜻이? 4월 25일이 무슨 날인지 알고 계신가요? 정답은 바로 ‘법의 날’ 입니다. 1958년 미국을 시작으로 세계 각국에서 ‘법의 날’이 제정되었는데요. 국민의 준법정신을 함양하고, 법의 존엄성을 고취하기 위하여 법무부에서 매년 주관하는 기념일이라고 합니다. 올해도 법의 날..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1.04.27
대쪽같은 검사 이준! 그가 파면당한 이유 대한제국 말기 고종의 밀사로 알려진 이준(1958~1907) 열사를 아십니까? 이준 열사는 헤이그에 밀사로 파견 되었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고, 타국에서 생을 마감한 인물로 알고 있던 터였는데요. 지난 4월18일, 서울 서초동 대검찰청 별관 4층에서 ‘대한제국 검사 이준열사 학술 심포지움’이 있다고 하여 ..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1.04.20
눈 피해 극심했던 강릉보육원 또 도우러 왔어요. 검찰청 또는 검사. 사실 무거운 죄를 지은 사람이 아니라면 검찰청에 가보거나 검사를 만날 일이 거의 없습니다. 그런데 춘천지검 강릉지청 직원들이 강릉보육원에 우르르 몰려왔습니다. 아니, 보육원엔 무슨 일로?? “지난달에 눈 치느라 고생 많으셨죠? 그때도 정말 감사드렸어요. 오늘은 유리창을 ..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1.03.31
천안함 1년, 그래도 통일을 준비해야 하는 이유는 3월 26일은 천안함 폭침 사건이 일어난 지 1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온·오프라인에서도 천안함 1주기를 추모하기 위한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는데요. 북측의 도발로 안타깝게 희생된 46명의 장병들과 그들을 구하기 위해 목숨을 바친 한준호 준위를 생각하면 지금도 가슴이 무너지기는 마찬가지입니다. ..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1.03.25
생일 챙겨주는 직장은 이런 분위기구나~! 지난해 입사한 신입사원인 검찰과 이우석씨는 머리에 쓴 고깔모자가 어색한지 쑥스러운 미소를 지었습니다. 우석씨는 “어렸을 때 생일 파티를 해보고 정말 오래간만에 생일 파티를 하는 것 같은데요. 이렇게 즐거운 자리에 참석하게 되어 기쁩니다.” 법무부의 직원으로서 더욱 사회에 모범을 보이..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1.03.23
2011년 법무부 이렇게 일하겠습니다. 숨 가쁘게 달려온 2010년도 이제 일주일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이맘 때 즈음이면 한 해를 잘 마무리하고, 곧이어 맞이할 새해를 계획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한데요. 법무부도 지난 한해를 돌아보고 잘못된 것은 수정·보완하고 잘 한 것은 더욱 잘하기 위한 2011년도 업무계획을 세웠습니다. 2011년도 법..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0.12.23
김장김치 3000포기와 여대생 3인방 “만약에 김치가 없었더라면~ 무슨 맛으로 밥을 먹을까~ 진수성찬 산해진미 날 유혹해도 김치 없으면 왠지 허전해~♬♪” 김치 주제가의 한 소절입니다. 노래로 김치를 찬양(?)할 만큼 우리나라 사람들의 입맛에 딱 맞는 김치! 2009년 기준 연간 소비량은 164만4000t에 달하며, 4인 가족이 하루 1/4포기를 먹..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0.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