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녀와 나무꾼에 나오는 나무꾼은 관음증일까? 우리나라 전래동화에는 특징이 있습니다. 주인공들이 예기치 못한 고난을 만나 고초를 겪다가 결국에는 고난을 극복하고 오래오래~ 행복하게 산다는 것이죠. (아마도 우리나라의 미래를 예견하는 것 같네요^^;;) 주인공에게 다가오는 고난은 ‘콩쥐팥쥐’에 등장하는 계모와 팥쥐 또는 ‘장화홍련’의..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0.06.15
혼자서 술도 못 마시게 하는 더러운 세상, ‘마우이섬’ 하와이 군도의 한 섬인 마우이에 도착했다. 첫 날, 호텔 체크인을 마치고 잠시 짐정리를 한 후 주변 산책을 위해 밖으로 나서니 어느덧 해가 뉘엿뉘엿 넘어가려 한다. 자연이 주는 아름다운 광경을 좀 더 느긋하게 느끼려고 석양이 물드는 바다가 보이는 호텔의 야외 바에 자리를 잡았다. 직원이 내미..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0.06.15
21세기형 추노꾼, 이런 일을 하는구나! 자유형 미집행자 검거하는 21세기 추노꾼 추노란 도망간 노비를 수색하여 연행해 오는 것을 말합니다. 얼마 전 kbs 드라마로 큰 인기를 끌었던 드라마 덕택에 '추노꾼'이라는 직업이 많이 알려지게 되었죠. 21세기엔 노비가 없습니다. 하지만 추노꾼은 있습니다. 단, 하는 일이 조금 바뀌었을 뿐이지요.^^;..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0.06.14
한국 축구, 그리스전 승리는 예정되어 있었다! 지난 11일, 세계인의 축제 월드컵이 시작되었습니다. 대한민국의 첫 경기는 개막 다음 날인 12일 토요일 저녁에 있었는데요, 대한민국과 그리스의 첫 경기를 응원하기 위해 전국에서 많은 국민들이 거리로 나와 응원전을 펼쳤습니다. 이번 거리 응원은 비가 오는 바람에 코엑스 앞이나 시청앞 등 야외 ..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0.06.14
얼려 먹는 단감보다 더 맛있는 침시(沈柿)의 추억 교도소에서 띄우는 ‘어머님전 상서’ 남00 ∥ 전주교도소 하루 일과를 마치고 휴식하는데 옆 동료가 단감을 몇 개 갖다 줍니다. 단감을 보니 우린 감을 먹던 옛날 생각이 떠오릅니다. 어머니도 생각나고요. 요즘에는 사과, 배, 감 그리고 외국에서 들여온 과일까지 사시사철 가리지 않고 먹을 수 있게 ..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0.06.14
햄버거 패티를 지렁이로 만든다는 얘기 들어봤니? 1978년 미국에서 아주 황당한 소문이 돌았습니다. 세계 최대 패스트푸드 판매점인 한 회사의 햄버거 패티가 쇠고기가 아닌 ‘지렁이’ 고기로 만들어졌다는 소문이었습니다. 쇠고기 대신 지렁이를 갈아 패티를 만들었다는 것이지요. 이 소문이 돌자 해당 회사의 판매량은 순식간에 30%나 떨어졌고, 회..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0.06.13
잃어버린 카드값 얼마나 책임져야 하나? 얼마 전 한국인씨는 신용카드대금 영수증을 확인하고 깜짝 놀랐습니다. 생전 가본 적도 없는 비싼 술집에서 200만원이나 결제가 된 겁니다. 그제서야 카드를 찾아보니, 언제 잃어버렸는지 지갑 속에 카드가 없더군요. 우선 카드사에 카드 분실을 전화로 통보하고, 서면으로 다시 분실 신고를 했는데요,..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0.06.12
비와 전지현의 열애설 보도가 씁쓸한 이유 한국을 대표하는 월드스타 ‘비’와 신비주의 콘셉트로 많은 남성들의 가슴을 설레게 하는 배우 ‘전지현’의 열애설이 보도되었습니다. ▲가수 비와 배우 전지현 Ⓒ네이버 인물검색 이를 단독 보도한 모 스포츠 신문에서는 100일여의 밀착취재 끝에 열애사실을 알아냈다고 하는데요. 이에 비의 소속..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0.06.11
외도한 남편이 이혼하자고 합니다... 순정녀씨는 학교를 졸업한 후 회사에 다니던 중 같은 회사에 다니던 남편 외도남씨를 만나 3년의 열애 끝에 결혼에 골인했습니다. 남편은 착실하고 성실한 사람이어서 결혼한 지 얼마 후 아파트도 사고, 딸·아들 한명씩 낳아 행복하게 잘 살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결혼한 지 11년째 되던 해부터 남편..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0.06.11
눈 먼 노모와 살인죄 아들의 기막힌 사연 들어보니... 수용자가 두려운 21살 교도관 21살, 성인이란 이름으로 세상을 향해 부푼 꿈을 안고 시작된 교정공무원 생활······. 사실 처음엔 너무나 큰 두려움이 있었습니다. 제게 있어서 ‘죄인’이란 단어는 보편적인 사람들과는 전혀 다른 삶을 사는 사람들로 이질감과 함께 두려움의 대상이었고 이 점은..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0.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