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cc급 오토바이, 책임보험이 필요한가요? 회사를 옮기게 된 A씨. 새로 입사한 회사는 집에서 약 30분 거리에 위치한 곳이기 때문에 오토바이를 한 대 장만하기로 하였습니다. 그래서 A씨는 출퇴근용으로 125cc급 오토바이 한 대를 구입하였는데요. 직장동료에게 오토바이 구입 사실을 말하자, 직장동료는 뜻밖의 이야기를 꺼냈습니..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4.12.15
교통사고 발생 시, 이것만은 알아두자! 여러분 혹시 교통사고가 났던 적이 있나요? 교통사고란 도로교통법 제2조의 규정에 의해 도로에서 차량의 교통으로 인하여 인적, 물적 피해가 따르는 사고를 의미하는데요, 우리나라에서는 교통사고가 얼마만큼 발생하고 있을까요? ▲ 출처 : 도로교통공단 TAAS 교통사고분석시스템 위 자..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4.05.26
교통사고 났을 때, 형사처벌을 받는 경우! 고 모(50)씨는 버스에 치여 왼쪽 무릎을 크게 다쳤습니다. 버스가 우회전하면서 통행금지 표시를 무시하고 주차장 안까지 들어와 빚어진 사고였고 고씨는 바로 병원으로 옮겨져 수술을 받았으나, 아직도 혼자서 거동이 불편한 상태입니다. 그렇다면 가해자는 어떤 처벌을 받을까요? 출처 ..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4.05.07
고속도로상의 위협운전! 살인미수라고요? 고속도로에서 앞서가는 운전자가 위협운전을 하며 갑자기 고의로 급정거를 한다면 여러분은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지난해 차선변경 문제로 다른 차량과 시비가 붙은 승용차가 차량을 운행하며 10㎞ 가까이 시비를 벌이다 고속도로 1차로에 급정거했습니다. 이 때문에 뒤따르던 차량 4대..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4.03.19
산재보험금을 받으면 다른 보험금 못받나요? 오늘도 열심히 고객을 위해 일하는 택배기사 나특급씨, 일하던 도중 교통사고를 당하게 되었어요. 다행히 이미 가입한 상해보험 덕분에 보험사로부터 상해보험금을 받게 되었습니다. 이 교통사고는 업무 중 사고를 당한 경우이므로, 나특급씨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의한 산재보험금..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3.12.11
(필독) 하반기 교통정책, 이렇게 달라집니다! 금년 1분기 자동차 등록대수 1,900만대 돌파! 2013년 3월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자동차 등록대수는 1,900만대(19,020,869대)를 톨파했는데요. 이는 약 2.6명의 국민당 1대꼴로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자동차는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이 된지 오래입니다. 오는 2015..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3.08.06
무면허 오토바이? 부모님과 바이바이! (다음 글은 친구의 목격담을 바탕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6월 말 새벽에 있었던 일이라고 합니다. “어... 그러니까 내가 새벽에 여행 갔다 와서 집으로 가고 있는데 오토바이 한 대하고 자전거가 여러 대 따라 가는 거야. 뒷모습을 보니 중, 고등학생? 정도 되 보이더라고. 그런데 그 다음..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3.08.02
'런닝맨' 박봄의 안전띠 미착용이 논란이 되는 이유! ▶이미지 : SBS 예능 '일요일이 좋다-런닝맨' 화면캡처 지난 28일 방송된 SBS 인기 예능 프로그램 ‘일요일이 좋다-런닝맨’에 2NE1 멤버들이 게스트로 출연해 많은 시청자들을 TV 앞으로 불러 모았습니다. 그런데 방송이 전파를 탄 후 예상 밖의 논란이 일어났습니다. ‘런닝맨 출연 박봄, 안..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3.07.31
교통사고! 한 번의 선택이 십년을 좌우한다?! 우리나라에서 면허를 가진 사람은 무려 2725만여 명이나 된다고 합니다.(경찰청,2012) 자동차가 많아지고 운전자가 많아지면서 덩달아 많아진 것이 바로 사고 건수인데요. 교통신호 잘 지키면서 내 갈길 가다가도, 옆 차선 운전자가 깜빡 졸음운전을 하면 나까지 덩달아 위험한 상황에 처할 ..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3.03.06
새해 첫날부터 음주 운전하는 당신은 무슨 배짱?! “5! 4! 3! 2! 1! (땡!)” 계사년 새해를 여는 제야의 종소리가 울려 퍼지고, 새로운 희망을 품으며 출발한 2013년도 어느덧 보름이 지났습니다. 술 좋아하고 모임 좋아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12월엔 연말 송년회라고 모여서 술을 마시고, 1월에는 새해 신년회라고 모여 술을 마십니다. 이러다.. 법블기 이야기/힘이되는 법 2013.01.22